한 젊은 사진가는 그의 사진을 보며 '그 속에서 살고 싶다’고 말한다. 오늘의 Letters From Tulp 일본의 예인 하나요(HANAYO) 한 젊은 사진가는 그의 사진을 보며 ‘그 속에서 살고 싶다’고 말한다. 예인, HANAYO 글. 박의령(피처 에디터) ![]() 하나요(花代)는 게이샤 세계에서의 연회비를 뜻한다. 꽃송이만큼 값을 친다는 의미로 한자를 읽으면 화대다. 일본 아티스트 하나요는 이름도 ‘花代’를 쓰며 실제로 게이샤 견습생이었다. 80년대가 막 끝날 즈음 게이샤가 되기 위해 대학을 중퇴하고 고향을 떠나 도쿄로 상경한다. 게이샤는 철저한 집단 생활을 하며 엄격한 수업을 받지만 하나요는 견습 중에 피어싱을 하고 몸에 무당벌레 문신을 새겼다. 폐쇄된 세상에 머무를 수 없어서. 게이샤라는 문화적인 외피를 가진 채 자신이 하고 싶은 여러 예술을 시작한다. 퍼포머, 음악가, 사진가 등 이름 하나를 붙일 수 없어 ‘예인’이라는 말이 적합하다 뚜렷하고 꾸준한 행보 중 하나는 음악. 1992년 재패니즈 노이즈의 창시자인 메르츠바우(Merzbow)의 마사미 아키타와 바이어런트 온센 게이샤(Violent Onsen Geisha)의 마사야 나카하라의 협력을 얻어 무대에 서고 음악을 시작한다. 1995년에 낸 첫 음반 <まっ赤なしずく>는 이제 실물 CD를 찾아 보기 어려울 정도로 마니악한 음반이었고 2000년에 발표한 <Gift>는 해외 레이블에서 낸 영어 음반으로 음악가로서 세계에 이름을 알린다. 그리고 2002년 바네사 파라디(Vanessa Paradis)의 ‘Joe Le Taxi’를 커버한 싱글 음반을 내며 정점을 찍는다. 음악 활동 초기. 키워드는 ‘롤리타’와 ‘멜랑콜리’ 친구들과의 파티에서 술 취한 채로 부르는 것 같은 일렉트로닉 ‘Joe Le Taxi’ 많은 활동을 하지만 그를 사진가로 기억할 일이 잦다. 얼마 전 활동 30년을 기념하는 사진집이 나왔고 여전히 성실하게 사진전을 연다. 그가 사진 활동을 시작한다고 했을 때 주변사람들 조차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중학생 때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올림푸스의 하프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모아 1995년 첫 사진집 <ハナヨメ>(하나요메)를 냈다. 사진계는 앞다투어 책과 전시를 기획하고 패션 업계도 그를 반겼다. 가끔 곰팡이가 아름답게 보일 때가 있지 않나? 푸르다 못해 하얗게 질려 버릴 것 같은 장면들. 만화경 속 풍경처럼 색채의 난반사가 구석구석 뿌려진 하나요의 사진은 그때까지 누구도 보여주지 못했던 것들을 눈앞에 펼쳐놨다. 천진할 정도로 기교라고는 하나도 없는데 독자적인 사진. 지금 보면 로모그라피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로모그라피가 유행한 건 사진집에 나온 지 10년 정도 후다. 30여 년 동안 그의 사진은 변함 없다. 거창한 주제 없이 본인이 속한 세상을 바라보고 필름이 내놓는 화학반응을 즐긴다. 세대가 거듭되어도 그의 사진은 정식으로 채택되지 못한 교과서처럼 사진을 사랑하는 이들의 교본이 된다. 30주년 기념 사진집 <Keep an Eye Shut>에서 ![]() ![]() 첫 사진집 <하나요메>는 영국으로 떠나기 전 도쿄와 프랑스에서의 생활을 담고 있다. 하나요의 스타일을 말해주는 여러 사진들 ![]() ![]() 하나요의 사진집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MAGMA>. 독일인 남편과 낳은 딸 텐코(点子)는 하나요가 가장 많이 찍은 피사체다. 10년도 더 전에 후쿠오카의 중고 서점에서 산 <MAGMA>는 아직까지 거실 책장 한 가운데 정면으로 꽂혀있다. 결혼 생활을 하던 베를린에서 찍은 사진은 어쩐지 쓸쓸하고 바래서 사라질 것만 같다. ![]() ![]() 로모그라피와 작업한 적이 있다. 하나요는 현역이다. 한 젊은 사진가는 그의 사진을 보며 ‘그 속에서 살고 싶다’고 말한다. <Harper’s Bazaar>의 피처 디렉터다. 가장 호기심 많았던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 익힌 것들을 아직 좋아한다. 가끔 사진을 찍고 믹스 테이프를 만들기도 한다. 박의령 인스타그램 튤립 매거진 (TULP MAGAZINE) Letters From Tulp 튤립매거진은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그들과 협업한 상품을 판매합니다. 이번 11월에 첫 글이 발행되는 <Letters From Tulp>은 박의령 에디터와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아티스트, 주목할 만한 문화의 흐름이나 멋진 공간 등을 소개하는 글들로 이어져 나갑니다. 📮 우편함 아래 버튼을 통해 남겨진 지난 뉴스레터의 댓글을 직접 읽어드려요. 튤립 info@tulp.co.kr instagram : @tulpmag @tulpmerch 서울 동작구 성대로 25가길 8 수신거부 Unsubscribe (정말요?) Copyright ©2021 TULPMAG, All rights reserved. |